넷플릭스 오리지널 '로마': 흑백 화면에 새겨진 1970년대 멕시코의 잊혀지지 않는 기억 (Roma, 2018)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로마'**는 2018년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시작으로 아카데미 감독상, 촬영상, 외국어 영화상 3관왕을 차지하며 평단과 관객 모두를 사로잡은 걸작입니다. 넷플릭스가 제작한 영화 중 가장 예술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이 작품은 쿠아론 감독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고하는 자전적인 이야기로, 1970년대 멕시코 시티의 중산층 가정을
배경으로 펼쳐집니다. 이 영화는 화려한 색채 없이 오직 **흑백 화면**으로만 구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컬러 영화보다도 생생하고 깊은 감동을 선사하며, 관객을 잊혀지지 않는 기억 속으로 초대합니다.
익명의 영웅, 클레오의 시선으로 본 시대의 초상
'로마'라는 제목은 멕시코시티의 중산층 거주 지역인 '로마 지구(Colonia Roma)'를 의미하지만, 그 안에 담긴 이야기는 계층을 넘어선 보편적인 인간의 삶과 고통, 그리고 사랑을 다룹니다. 영화의 진정한 주인공은 가정부로 일하는 젊은 여성 **클레오(얄리차 아파리시오 분)**입니다. 그녀는 넉넉하지 않은 형편에도 불구하고, 네 남매를 둔 소피아(마리나 데 타비라 분) 가족에게 헌신하며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쿠아론 감독은 영화를 통해 자신을 키워준 유모에게 헌사를 바치는데, 클레오의 삶은 바로 1970년대 멕시코 사회에서 희생하고 소외되었던 익명의 여성 노동자들을 대변합니다. 그녀는 가족들에게 따뜻한 존재이지만, 근본적으로는 '고용인'이라는 벽을 넘을 수 없는 경계에 서 있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미묘하고 복잡한 계층 간의 관계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적인 정을 담담하게 조명합니다.
미장센과 흑백의 미학: 롱테이크가 선사하는 몰입감
'로마'의 예술적 가치를 논할 때 **촬영 기법**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쿠아론 감독은 직접 촬영을 맡아 특유의 장기적인 **롱테이크(Long Take)**와 광활한 **와이드 샷(Wide Shot)**을 적극적으로 사용했습니다. 카메라는 인물의 감정을 클로즈업하기보다, 그들이 놓인 환경 전체를 조용히 관찰합니다. 이 기법은 관객을 단순한 시청자가 아닌, 1970년대 멕시코
시티의 골목길, 집안의 소란스러움, 그리고 드넓은 해변에 함께 존재하는 '시간의 여행자'로 만듭니다.
흑백 화면은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클레오의 고독과 멕시코 사회의 폭력적인 현실을 더욱 극명하게 대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흑백의 미장센 속에서 자동차 소리, 아이들의 웃음소리, 거리의 소음 등 청각적 요소들이 오히려 더욱 생생하게 다가오며, 시각적 정보의 부재를 소리의 풍요로움으로 메우는 역설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로마'는 우리가 흔히 보던 영화의 문법을 따르지 않습니다. 대신, 쿠아론은 카메라를 통해 우리가 '기억'을 저장하는 방식, 즉 시야가 넓고 미묘한 소음들이 가득한 그 시절의 풍경을 그대로 재현해냅니다. 흑백 필름 속에서 시간은 느리게 흐르지만, 그 속에서 느껴지는 삶의 무게와 아름다움은 영원히 잊혀지지 않습니다.
개인의 고난과 시대의 폭력: 두 개의 클라이맥스
영화는 클레오가 겪는 개인적인 시련, 즉 남자친구의 무책임한 이탈과 홀로 감당해야 할 임신을 담담하게 따라갑니다.
이와 병행하여 1971년 멕시코시티에서 벌어진 학생 시위 진압 사태인 **'코르푸스 크리스티 학살'**과 같은 시대적 폭력이 클레오의 삶에 갑작스럽게 난입하는 장면은 관객에게 큰 충격을 줍니다. 개인의 삶과 거대한 시대의 비극이 교차하는
이 연출은 영화의 주제 의식을 한층 깊게 만듭니다.
하지만 이 영화의 가장 강렬한 클라이맥스는 다른 곳에 있습니다. 바로 바닷가에서 아이들이 위험에 처하자, 수영을 할 줄 모름에도 불구하고 본능적으로 물에 뛰어들어 아이들을 구하는 클레오의 모습입니다. 파도 속에서 아이들을 품에 안고
탈진한 그녀에게 가족들이 달려와 부둥켜안고 "너는 혼자가 아니야"라고 외치는 장면은 이 영화의 정서적 폭발구입니다.
이 짧은 순간, 계층적 구분이 사라지고,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순수한 사랑과 연대가 비로소 완성됩니다. 클레오의 고독한 삶에 비춰진 한 줄기 빛과 같았습니다.
마무리: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로마'는 쿠아론 감독에게 가장 개인적인 회고록이었지만, 동시에 수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어냈습니다. 이는 이 영화가 특정한 시대를 넘어, 돌봄 노동의 가치, 여성의 희생, 그리고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존재하는 복잡한 감정들을 가장 솔직하게 그려냈기 때문입니다. 느린 호흡과 깊은 울림을 견딜 수 있는 관객이라면, 이 흑백의 마법 같은 이야기가 선사하는 잊혀지지 않는 감동을 넷플릭스에서 꼭 경험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클레오라는 익명의 영웅이 보여준 끈질긴 생존력과 무한한
사랑에 대한 헌사, 그것이 바로 '로마'가 우리에게 남기는 가장 아름다운 여운입니다.
'로마'는 단순한 시청을 넘어, 우리가 지나온 시간과 우리 주변의 사람들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치유의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오리지널 '결혼 이야기' 리뷰 (0) | 2025.09.28 |
---|---|
《그레이 맨》 영화 리뷰 (0) | 2025.09.22 |
내가 사랑했던 모든 남자들에게 영화 리뷰 (0) | 2025.09.21 |
인사이드 아웃 2 리뷰: 사춘기 감정의 미로, 그 안에서 길을 찾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 (0) | 2025.09.17 |
미드소마 영화 리뷰 (1) | 2025.09.15 |